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2005-5668 ㅣ eISSN : 2289-0386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2 (2020)
pp.162~174

DOI : 10.15523/JKSESE.2020.13.2.162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신

(고려대학교 겸임교수)

김형범

(충북대학교 교수)

이창환

(고려대학교 석사과정)

이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사고기법 중 하나인 비유 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무선 표집된 6개의 중학교 338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중 ‘천문’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비유 를 활용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한 창의교육 수업프로그램은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여 3차례에 걸쳐 수정, 보완하여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검 증받았으며,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블록타임을 포함 하여 총 4차시에 걸쳐 현장에 적용하였다. 이에 따른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창의교육 수업만족도 검사와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를 실시하였다. 즉 창의교육 수 업만족도 검사는 프로그램 처치 후에 창의적 사고과정 검사는 처지 전과 후에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 기법을 활용하면서 학생들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창의교 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적 사고기법의 비유를 활용한 창의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수업 전·후에 대한 통계적 검정 결과에서는 유의미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 <.05). 즉,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 표본 t검정에서 모두 유의미한 통 계적 검정 결과를 나타내어(p <.05), 비유를 활용한 창 의교육 프로그램이 연구 참여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 을 끼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교육 수업 만족 도에서는 전체 338명중 101명(30%)이 ‘매우 그렇다’, 137명(41%)가 ‘대체로 그렇다’로 응답하여 전체적으로 수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만, 창의교육 수업에 대한 어려운 점에 대해 137명(41%)이 ‘시간 부족’을 주요 원인으로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 98명(30%)이 ‘해결해야 하는 문제의 어려움’, 73명 (22%)이 ‘친구와의 의견충돌’ 및 24명(7%)이 ‘수업 내 용의 어려움’으로 응답하여 향후 창의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점으로 판단되었다.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Creative Education Learning Program Us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Shin Han

Hyoungbum Kim

Chang-Hwan Lee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creative education class program using metaphor, one of the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argeting for randomly sampled 338 students in six middle schools.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program with the metaphor was developed based on content elements concerning 'astronomy' in 2015 science curriculum revision in South Korea. The program was tested for validity after being modified and supplemented three times by forming a group of experts, and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was applied to school education fields during four periods, including block time.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nd the implementation, creative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est and creative thinking process test were conducted. That is to say,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est was conducted before treatment and the creative thinking process test was implemented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program was developed with the emphasis on students voluntarily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creative education programs while utilizing creative thinking methods. Second,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pre- and post-class about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the metaphor of creative thinking techniques represented significant results(p<.05). In other words, the two-dependent samples by students’ pre-and post-score about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showed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s (p<.05). It turned out that the creative education program using metaphor has had a positive impact on research participants. Third, in regards to the results of the creative education class satisfaction test, 101 out of 338 students(30%) answered ‘Strongly Agree’ and 137(41%) answered ‘Agree’, indicating the subjec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 was high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concerning difficulties of the creative class, 137(41%) answered “Lack of time” as the main factor, followed by 98(30%) “Difficulties of problems they were required to solve”, 73(22%) answered “Conflicts with friends”, and 24(7%) said "Difficulties of contents.” These responses were taken into account as considerations for further development of creative education programs.

Download PDF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