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상단 글자

논문검색

HOME     학회지     논문검색

pISSN : 2005-5668 ㅣ eISSN : 2289-0386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3 no.3 (2020)
pp.238~252

DOI : 10.15523/JKSESE.2020.13.3.238

지구과학 예비교사가 설계한 수업내용의 논증구조에 나타난 반박 분석

박원미

(한국교원대학교 박사과정)

본 연구에서는 지구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 설계 과정에서 구성한 학습 내용 논증구조에서 반박의 대상 이 되는 요소에 따라 반박유형을 분석하였다. 또한, 반 박을 해결하기 위한 예비교사의 대응 방법에 따라 사 례를 분류하고 탐색하였다. 5주간 총 20시간의 강의 및 모둠 토론 과정에서 수집한 예비교사들의 수업 결 과물과 토론 및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한 결과, Verheij (2005)가 이론적으로 도출한 5가지 반박유형이 모두 확인되었다. 분석을 통해 추출한 총 18건의 반박 사례 를 질적으로 해석하였고, 예비교사들이 반박을 수업에서 해결하는 방식에 따라 반박 사례를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이 논증구조를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동안 논증의 핵심 요소와 논 증 과정의 과학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사고 과정을 활발 히 진행한다는 경험적 자료를 제공하였으며, 과학교육 연구에서 논증활동의 적용 범위를 확장하였다. 둘째, (예비)교사가 학생들의 궁금증을 유발하여 수업에 몰입 (참여)시키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는 데 있어 수업내용 논증구조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반박을 생 성하고 해결 방안을 도출하는 과정을 통해 예비교사는 과학지식의 가변성이나 불확정성을 비롯하여 과학의 본성에 대하여 생각해 볼 기회를 얻을 수 있다.

Analysis of Rebuttals in the Argument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s in Lesson Plans of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Won-Mi Park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types of rebuttals in the argument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s in lesson plans constructed by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and then we explored examples of how they responded to resolving the rebuttal. As a result of analyzing preservice teachers' assignments, discussions, and interviews collected during a total of 20 hours of classes and group discussions for 5 weeks, all 5 types of rebuttals suggested by Verheij (2005) were identified. Through the data analysis, a total of 18 rebuttal cases derived, and these cases were classified into 3 types according to how preservice teachers solve the rebuttals in class.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provided empirical data that the thinking process of validating core elements of argumentation and processes of argumentation is actively taking place in preservice teachers’ lesson planning using the argument structure, and expanded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gumentation in science education research. Second, the argument structure of learning contents should be used to help teachers to come up with strategies to induce students’ curiosity and devotion to learn science contents. Third, preservice teachers should have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nature of science, including the variability and uncertainty of scientific knowledge when they discover rebuttals and develop solutions to them. Based on these conclus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science education and further research were suggested.

Download PDF list